대학진학 소프트웨어(SW)특기자 전형? 차근차근 알아보고 준비하자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소프트웨어(SW)특기자 전형이라는
따끈따끈한 수시전형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아무래도 수시로 진학하는 방법이지만
2016년도부터 시행되었기 때문에 관련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학생부 교과전형(교과점수), 학생부종합전형(교과,비교과,학생부)
소프트웨어(SW)특기자 전형, 논술, 등 많은 수시 전형들이 있습니다.
예전과는 다르게 정시에서 수시로 입시 전형의 무게가 많이 기울기도 했으며
대학에서도 정시보다 수시로 뽑는 인원을 늘릴거라는 발표를 많이 하면서
수시로 대학을 진학하려는 학생, 학부모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소프트웨어(SW)특기자 전형는 2016년 생겨난 입시 제도로
이런 제도가 있는지 조차도 모르는 학교 선생님들도 계십니다.
SW중심 대학으로 선정된 대학들만 소프트웨어(SW)특기자 전형으로 학생들을 뽑는데
선정되는 대학들도 점점 늘어나고 이미 선정된 대학들도 모집하는 학생들을 늘릴거라는
계획이라고 하죠. 아무래도 기업에서 졸업생들을 뽑는데 단순한 코딩조차도
못하는 전문능력이 전혀 갖춰지지 않은 학생들이 많았기에 IT산업의 발전이 더디고
그런 이유에서 국가 차원에서 장려해서 만들어진
입시제도가 바로 소프트웨어(SW)특기자 전형입니다.
현재 2018년 소프트웨어(SW)특기자 전형의 모집 계획은
발표난건 위의 사진과 같습니다. 보면 좀 놀라시는게
아니 특기자전형인데 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뽑나요? 하시는분
네 맞습니다. 특기자전형이지만 이름만 특기자전형일뿐
뽑는 방법에는 학생부 종합전형으로도 뽑습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내신도 어느정도 필요한건 다들 알고 계시죠?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대부분 1차 서류평가와
2차 면접으로 진행됩니다. 1차 서류의 경우에는
공통적으로 학생부, 자기소개서, 활동내역, 추천서같은게 필요하고
2차 면접의 경우에는 소프트웨어(SW)관련 능력이 얼마나 있는지
개인이 관련 관심이나 마음가짐이 어떠한지 시험보는게 보통입니다.
보통은 저렇지만 자신이 목표로 하는 학교에 따라서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어 성균관대의 경우에는 면접이 없고
서류로만 평가를 하며 동국대의 경우에는 실기 시험을 보는데
관련 개발능력시험을 봅니다. 아주대의 경우에는 지원하려면
국내외 대회 수상경력이 필요하고 국민대의 경우에는
교과 성적이 들어가는 부분이 있기도 하죠. 각각 다릅니다.
하지만 공통적인 부분은 소프트웨어(SW)능력을 시험본다는 거죠.
소프트웨어(SW)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 관심, 열정, 공부하려는 의지를
보는건 대부분의 학교에서 공통적인 사항입니다. 또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좋은데
대부분 리눅스마스터, 네트워크 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도
기입할 수 있는 자격증이면서 미래에 취업을 할때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멀리 보고 준비를 하면서 공부를 하는게 중요합니다.
IT관련 취업, 진학 혹은 자기개발을 함에 있어서
하나하나 목표를 세우고 관련 계획을 세우고
실행해나가는데 있어서 1:1 맞춤 상담을 통해
비전을 제시해주는 IT관련 전문 교육기관이 있습니다.
KG아이티뱅크는 전문 IT 법인 교육기관으로
강의 경력 15년 이상의 우수한 강사진과
실무에 목표를 둔 학습 커리큘럼과
개인의 목표에 맞춘 체계적인 교육 컨설팅과
시설, 장비등 교육환경 또한 뛰어난 IT교육기관입니다.
궁금하신 부분이나 IT공부 관련 상담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친절하게 상담해드리겠습니다.
'IT 전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분야 취업 준비, 관련 자격증들을 알아보자 (0) | 2017.02.21 |
---|---|
C언어 IT전공학과 신입생 전공대비 공부, 준비방법 (0) | 2017.02.21 |
국내 IT직업들의 트렌드와 현실 그리고 전망에 대해서!!! (0) | 2017.02.17 |
윈도우 서버 & 시스템 엔지니어, 관리자 취업 준비 (0) | 2017.02.17 |
정보처리기사, 산업기사 필기시험 왜 인강으로 공부해야할까? (0) | 2017.02.16 |
댓글